😁일상 속 궁금한 이야기

[일상/과학/원리] 가을에 단풍이 왜 물들까?

평평이 2021. 11. 8. 13:54
반응형

 

안녕하세요!

평범하고 평범한 이야기꾼 평평이 입니다.

 

어느 덧, 2021년도가 단풍으로 물이 들었네요.

저도 주말에 단풍을 보러 전북 고창의 선운사에 다녀왔습니다.

이번에 찍은 사진인데 색이 아주 빨갛게 잘 물들었네요.

 

같은날 찍은 사진인데,

여기는 물이 아직 덜 들었기도 하네요.

 

 

문득, 궁금하더라구요.

단풍은 왜 물들까? 잎의 색이 어떻게 변하는거지?

단풍나무는 빨갛게, 은행나무는 노랗게 말이죠

 

그래서, 제가 한 번 알아봤습니다.

 

 

알아보니 전문 용어들이 너무 너무 많고 복잡해서

최대한 알기 쉽게 풀어보도록 노력해보겠습니다.!!

 

출처: https://www.mk.co.kr/news/it/view/2015/10/1037537/

 

1. 가을이 되면 나뭇잎 색이 변하는 이유?!!

우리가 봄, 여름에 나무의 잎을 보면 대부분 초록색을 띄고 있습니다.

 

원래 나뭇잎에는 노란색 등의 다른 색의 색소성분을 가지고 있지만,

'엽록소'란 성분 덕분에 초록색으로 보입니다.

 

많이들 아시겠지만, 나무는 보통 '광합성'이라는 것을 하죠?

 

나무들은 이산화탄소(CO2)와 물(H2O) 그리고 빛을 흡수 통해서

나무 자신의 영양분을 만들고, 그 과정에서 산소도 배출을 하게 됩니다.

 

이 때, 빛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 '엽록소'라는 화합물입니다.

엽록소가 초록색을 띄기 때문에, 평소의 나뭇잎 색은 초록색을 띄게 되는 것이죠.

 

하지만, 가을에 접어 들면서 나무들은 기온이 내려가고 빛의 양도 줄 것이라는 것을

스스로 알면서, 서서히 대사 작용을 줄이게 됩니다.

겨울을 준비하기 위해, 몸통에 양분을 담고, 나머지 잎이나 열매를 떨어트리며 말이죠.

 

이 때, 나뭇잎으로 가는 길을 '떨켜'라는 바리게이트로 막으며, 영양분 공급을 서서히 줄이는 데요,

이 과정에서 이 초록색을 띄고 있는 '엽록소'가 파괴되면서, 초록색은 점점 옅어지고  

기존에 가지고 있던 다른 색들이 발색을 하게 되는 것입니다.

 

즉, 나무들은 초록색의 엽록소들이 파괴되면서

상대적으로 다른 색깔들이 나오게 되는 것입니다.

 

 

 

2. 그런데, 어떤 나무들은 노란색, 주황색, 빨간색으로 바뀌던데 왜그러지 ??

 

나무들마다 각각 가지고있는 성분 또는 함량이 조금씩 차이가 있습니다.

 

노란색과  주황색

대게, 나무 등 식물들은 '카로티노이드'  라는 대표적인 노란계열의 색소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카로티노이드계의 크산토필, 카로틴  같은 성분들 이 나무들을 노란색과 주황색으로 만드는 것이죠

이 색소들 때문에, 초록색 성분이 없어진 은행나무,백양나무 같은 나무들은 노랗게 물이 들어가게 됩니다.

 

빨간색

단풍나무는 보통 빨간색으로 물이 많이 들죠?

이 빨간색은 '안토시아닌'이라는 붉은색 성분인데요,

엽록소가 파괴되면서 생성되게 되어있습니다. 

 

초록색이 사라지고, 빨간색 성분이 많아 지다보니, 빨갛게 되는 원리이죠.

 

 

종합적으로 단풍이나 나뭇잎 색이 변화하는 이유를 요약하자면

초록색을 띄고 있는 성분(엽록소)이 사라져서, 다른 색이 나타나게 된 것이다.

그 과정에서 나무가 원래 가지고 있는 성분이나, 새로 만들어지는 성분 때문에,  나무마다 다양한 색을 뽐내게 된다.

라고 생각하지면 됩니다.

 

 

오늘은 단풍이 물드는 이유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단풍이 물들고, 낙엽이 떨어지고 하는데는 이유가 있었네요.

 

다시 한 번, 자연의 신비함과 현명함을 배우는 시간을 가지게 되었네요.

 

번외로, 지구 온난화가 점점 가속화 되다보면,

미래에는 단풍조차 쉽게 볼 수 없을 지도 모를 것 같습니다.

우리 모두,  우리의 자연을 지키는데 많은 관심을 가졌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이상 오늘의 일상 속 궁금한 평범한 이야기 마칩니다.

평범한 하루 되세요~!!

 

 

티스토리

https://2yagi.tistory.com/

네이버블로그

https://blog.naver.com/p4228226

 

 

 

 

 

 

 

 

 

 

 

 

 

 

 

 

반응형